티스토리 뷰

    행복주택 입주조건/자격/기간/임대료    

 

 

 

■ 행복주택이란?

 

: 청년 나이 19세~39세, 신혼부부, 대학생 등 

젊은계층의 주거불안 해소를 위해 

국가재정과 주택도시기금을 지원받아

대중교통이 편리하고 

생활하기 편리한 부지에 

주변시세보다 싸게 공급하는

공공임대주택을 말합니다.

 

 

그렇다면,

가장 중요한 입지조건을 알아볼까요.

누가 들어가서 살 수 있는지!

 

 

입주자격

 

1. 대상

 

: 무주택요건 및 소득 자산기준을 충족하는 

대학생, 청년(19세~39세), 신혼부부,산단근로자.

 

(신혼부부: 혼인기간 7년 이내 

또는

6세 이하 자녀를 둔 가구,

예비신혼부부 무주택세대 구성원)

 

 

2. 소득기준

 

: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

월평균소득 100%이하인 자.

 

(대학생은 본인과 부모 소득, 

세대원 본인 소득,

맞벌이부부 120% 적용.

계층별 소득기준에 1인가구 20%p,

2인가구 10%p 각각 가산한 소득기준 적용)

 

 

3. 자산기준

 

: 보유한 부동산(건물+토지),

자동차의 가액이 기준금액 이하인 자.

 

-(총자산) 29,200만원이하

-(자동차) 3,496만원이하

 

 

■ 임대료

 

: 시세대비 60%~80% 저렴.

가장 큰 장점 중 하나입니다.

 

 

■ 거주기간

행복주택에 살 수 있는 기간은 정해져 있는데요.

각 대상자마다 기간이 다르니 

입주하지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 중 하나입니다.

 

1. 대학생, 청년, 산업단지근로자: 최장 6년

6년 이라는 기간은

생각보다 빨리 지나가기 때문에 

입주 후 기간을 잘 기억해두는 게 좋을 듯 합니다.

 

2. 신혼부부: 최대 10년

3. 고령자 주거급여수급자: 최대 20년

 

입주하기 전에 살 수 있는 기간을 

계산해서 들어가면 

언제쯤 이집을 나와서 

다음에 살 집을 찾을 계획을

세우는데 도움이 됩니다.

 

 

행복주택 건물도 깨끗하고 

도심속 편의시설 인접한 위치하고

무엇보다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에

장기간 살 수 있기때문에 

인기가 아주 높은데요.

 

현재 입소문을 타고

주변의 많은 분들이 이용 중입니다.

 

아파트의 경우 1달에 1번

관리비가 발생하는데요. 

이 요금은 건물마다 다르다고 합니다.